면역의학 암 면역요법
페이지 정보
작성자 국제통합의학학회 작성일 20-11-19 16:40 조회 333회 댓글 0건본문
□ 암 면역요법 개요
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(PD-1/PD-L1 과 CTLA-4) 는 특정 혈액학적 악성종양, 고형종양 효과성 인정.
미국 FDA는 15개 이상의 암 징후에 대한 면역항암제를 승인이 될 정도로 효과가 있다.
우리 인체는 체내 항상성 유지(homeostasis)라는 다양한 분자 조절하고 있지만 그 분자의 유전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유전자 중의 일부가 치명적인 변이가 발생하면서 빠르게 분열하는 이상 세포가 신생물(neoplasm), 종양(tumor)이 된다 . 이 암 종양은 주로 체내 면역성을 회피하는 기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암 면역요법은 이 기전으로 억제된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지속적인 공격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요법이다.
그 종류로는
첫째, 독특한 항원을 가진 특이성 ‘면역 체크 포인트 억제제’를 단일 클론항체가 있다. 종양 환경의 면역억제 신호들을 차단함으로써 항암면역 증진시키는 면역치료법 림프구 퇴축 또는 활성 억제에 관여하는 PD-1 또는 PD-L1(니볼루맙, 펨브롤리주맙, 더발루맙, 아테졸리주맙, 아벨루맙) 이나 CTLA-4 신호전달계를 억제한다. 이를 관문저해제라고 한다.
둘째, 암에 대한 항체를 만드는 암 백신이 있다. 암 항원을 면역증강제(adjuvant)에 혼합 투여하는 방식이다. 항암면역반응을 유도하여 암을 예방하거나 이미 암이 발생한 경우 치료효과를 기대하는 면역치료법이다.
셋째, 치료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암항원으로 치료하는 항암항체 치료법이다. 그 결과 유방암, 림프종, 백혈병, 난소암, 악성 흑색종, 신경아세포종 등에 대한 치료항 체가 개발되었고,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.
그 외, 세포 기반 면역요법은 내재된 항암속성으로 T 세포 전달 및 치료 목적의 종양 침투 림프구 등이 있다.